티스토리 뷰
[서비스 경험 디자인 기사 1차 필기 합격 후기]
예전에 준비하려다가 덮어두었던 것인데 올해 공적인 역량계발 목표가 필요해서 자격증을 따기로 했다.
1. 시험 정보
- 출제 방식 : 객관식 80문항 (4과목 x 20문항)
- 합격 기준 : 평균 60점 이상, 과목 당 40점 미만 시 과락
- 대상 : 관련 학과 전공자 및 경력자
(1차 시험 이후 예비합격자에 한해 증빙서류 제출 후 대상 여부 심사)
2. 공부 방법 및 공부 기간
이론서를 3회독(정독 2회, 마무리 훑기 1회) 했고 시험 1주일 전에 기출문제 풀고 시험 당일에 다시 한 번 보았다. 여유있게 준비하고 싶어서 2개월 잡고 주 6시간 정도 할애했는데 밀도를 높인다면 한 달 정도면 충분할 것 같다.
그리고 평소에 UX 관련 서적을 읽어둔 게 도움이 되었다. 이론서만 봐도 합격은 가능한데 이론서에 없는 내용도 선택지에 나오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관련 도서를 읽는 것도 추천한다.
3. 교재
디자인진흥원이 발간한 공식 교재만 봐도 시험 준비는 충분하다. 사설 교재에 돈 쓰지 말고 이 두 개만 보자.
[공식] 이론서 (무료 PDF)
[공식] 기출문제집 (무료 PDF)
4. 난이도
"어렵지는 않지만 경력자라도 공부 안 하면 불합격"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오늘 발표된 예비합격자 합격율이 33%이다. 국가기술자격 시험의 필기 평균 합격율이 50~70%라고 하니 결코 높은 합격율은 아니다. 쉽다, 읽어보면 상식으로 풀 수 있다고 말하는 후기도 있던데 그렇지는 않다. 지엽적이거나 문장의 일부만 바꿔서 함정을 파는 문제도 은근히 많았다. 공부 안 하면 틀립니다.
공식 기출문제집에는 난이도가 대부분 '하'나 '중하'로 표시되어 있는데 동의하진 않는다. 그냥 출제자 기준에 쉬우면 '하'라고 표기한 것 같다. 그러나 겁먹을 필요는 없는 게 실제 시험에 '중' 이상도 없고 '하' 정도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기출문제 수준을 풀 수 있다면 합격은 무난할 것 같다.
다음에는 실기까지 합격해서 최종 합격 후기로 돌아오겠다(포부) 준비하시는 분들도 모두 합격하시길!
'디자인 > 교육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UX Design 수강 후기 (4) | 2022.03.02 |
---|---|
Coursera HCI 코스 수강중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