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퇴사한 동료가 본인의 회사생활의 힘듬을 친구들에게 설명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었다. 직접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말해봐야 이 이상한 상황을 이해를 못한다는 것이다. 나 역시 동료의 답답함에 크게 공감을 했다. 나도 내 뭐 같은 경험을 어떻게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할 수 있을까에 대한 갈증이 있었다.
오늘도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처럼 신박한 하루를 보내고 퇴근했는데 유튜브 알고리즘이 이 쇼츠를 추천해주더라.
내 이상한 경험을 단박에 설명하는 이 영상을 말이다.
전 농구선수 하승진과 전태풍의 대화인데 미국 혼혈이자 귀화선수인 전태풍이 K-농구문화의 이상함을 이렇게 설명했다.
외국에선 선수들이 경기 전에 쿨하게 슛하며 몸 푸는데 한국에선 오버하고 이상하게 소리를 꽥꽥 질러가며 보여주기식 운동을 한다고 한다. 그걸 보던 미국 선수들이 '쟤네들 뭐하냐'라고 비웃어서 부끄러웠다고 한다.
상황만 다르지 대부분의 K-직장에 대입을 해도 어색하지 않을 것 같다. 일이 진짜로 되고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일하고 있습니다요~를 쩌렁쩌렁 티내는 것이 중요하다. 나도 오늘 출근해서 그 집단 행위예술에 동참하고 말았다.
이런 나의 죄를 알고 유튜브 알고리즘이 참교육하려는 것일까. 그래도 자아를 잃지는 말자. 🤮
'연재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푸념(3) - 사람은 직접 경험하고 판단하자 (3) | 2025.08.21 |
---|---|
직장푸념(2) - 삼국지도 모르는 게 어디서 까불어 (0) | 2025.08.19 |